입원을 통한 하루 2회 이상의 집중치료

프리미엄 입원실 불면증 입원집중치료 가능

바를정한의원 입원실은 모든 병실이 상급병실 수준의 1인실 또는 2인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원집중치료는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입원실에서 의료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하에 하루 2회이상의 집중치료 받으시는 것을 말합니다. 통원치료는 하루 1회의 치료만 가능하지만 입원시 하루 2회의 치료가 가능합니다. 심신이 편안한 상태에서 자율신경의 안정을 취하며 온전히 치료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드려 빠른 회복에 도움을 드립니다.

불면증 증상 완화는 한방치료로

바를정한의원 네트워크 수원점 오민지, 이진혁 원장님은 다양한 질환의 한의학 논문발표와 저술활동 등으로 잘 낫지 않는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치료법을 도입하고 노하우를 축적해왔으며, 오늘도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에 힘쓰고 있습니다.

불면증 증상

불면은 잠들기 힘들거나 깊이 잠들지 못하고 자주 깨어나는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입면곤란, 수면 중의 반복되는 각성상태, 조조각성, 잠에서 깨어 다시 잠들기 힘든 것 모두 불면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사회에서는 정신적 사회적 혼란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하면서 불면을 호소하는 환자도 점차 늘어가는 추세입니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성인의 30~40% 정도가 한 해에 한번 이상은 불면 증을 경험하며, 그 중 10~15%정도는 한 달 이상 지속되는 만성불면증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불면증 한방치료의 당위성

서양의학에서는 임상에서 불면증세를 호소하는 환자에게 일차적으로 수면제를 처방합니다. 이런 경우 불면증의 만성화를 막고,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을 완화시킨다는 장점이 있으나, 정상적인 수면단계에 변화를 가져와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고, 주간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며, 약물의존성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자살충동으로 인한 자살률 증가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지니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불면에 대하여 고전에 失眠, 不寐, 少寐, 無眠, 少睡, 不得臥, 不得眠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黃帝內經 에서부터 불면의 病因 病機 및 치료에 관하여 언급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역대 많은 의가들이 불면의 病機와 證候를 분류하고 方藥을 제시하고 있어 불면증의 한의학적 치료가 가능합니다.

수면제 복용시 자살충동 등의 각종 부작용 및 수면제를 복용하고도 나아지지 않는 삶의 질, 수면제를 한번 복용하기 시작하면 중단하지 않고 계속 복용해야 수면을 취할 수 있어 계속 약물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한방으로 불면증의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면 엄청난 메리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면증의 한방치료 방법

靈樞ㆍ邪客論 에 “補其不足 瀉其有餘 調其虛實 以通其道 而去其邪 飮以半夏湯一劑 陰陽已通”라 하여 불면증 치료의 大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張介賓은 원인을 邪氣之擾와 營氣之不足로 분류하고 有邪者多實症, 無邪者多虛症이라 했으며, 實症의 痰, 火, 寒氣, 水氣, 飮食, 忿怒는 모두 邪滯이고, 思慮, 勞倦, 驚恐은 眞陰不足이라 하여 불면증을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인식하였습니다. 그에 대한 치료법으로 散風寒, 凉火熱, 化痰, 消滯, 分利水飮, 行氣, 溫中, 解鬱, 淸痰, 降火를 주장하였습니다.

처방으로는 心膽虛怯 觸事易驚이 원인일 경우 加味溫膽湯, 高枕無憂散을 투여하며, 勞役과다로 인한 불면에는 獨活湯, 膽實熱로 인한 煩悶과 동반된 불면에는 半夏湯, 不睡及多睡에는 酸棗仁湯, 婦人失血過多로 인한 心神不安 및 不眠에는 寧志膏, 氣鬱生涎 夢寐不寧 怔忡驚悸 心虛膽怯 變生諸證에는 溫膽湯을 투여합니다.

불면증 한의학 논문

수원 바를정 한의원은 근거중심 한의학을 추구합니다.

  증례논문(Case report): 증례논문이란 특정 개별환자에게 수행한 의학적 처치의 과정과 결과를 서술한 보고 논문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증례보고의 대상이 되는경우는 새로운 질환이나 희귀한 질환, 비전형적인 경과를 가지는 질환, 새로운 검사법이나 치료를 적용한 경우입니다. 따라서 증례논문을 근거로 특정 치료법이 치료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담보하지는 않습니다.

  • 불면환자 350명의 동반증상과 심박변이도, 체성분 분석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2년 제 23권 제 3호 p.47-62

    본 논문은 불면증 환자들의 동반 증상들과, HRV, 체성분 분석 검사의 요소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논문이다. 그 결과 남자는 두통 두불청, 흉민, 소화불량과 식욕부진이 많았으며, 여자는 두통두불청, 식욕부진, 소화불량, 심계정충, 불안증세가 많았으며 BMI가 높을수록 PR과 LF는 낮아지며, 내장지방이 많을수록 PR, HF, LF, VLF 수치들이 낮아졌다.

  • 한의학적 치료로 호전된 불면과 우울을 동반한 섬유근통 증후군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5년 제 36권 제 3호 p.400-409

    본 논문은 섬유근통 증후군 진단을 받은 44세 여자 환자의 치료를 위해 胸痛解鬱湯, 침전기자극술, 봉약침, 추나치료, 한방물리치료 등의 한방 복합치료를 시행한 논문이다. 치료 후 안면 및 전흉부 열감이 감소하였으며, 섬유근통 score, VAS, FIQ, BDI 또한 감소하였으며, 불면증 또한 호전되었다.

  • 불면환자 175명의 심박변이도, 체성분 분석 및 동반증상의 특징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년 제 21권 제 4호 p.21-39

    본 논문은 연령별 성별 불면증환자의 세부 항목의 분석과 특징을 살펴보고 주증인 불면증 이외에 연령대나 성별에 따라 주로 호소하는 증상의 빈도와 연관성 체성분분석의 특징 등을 분석한 논문이다.

  • 불면 처방에 관한 문헌고찰 : 동의보감 몽문을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1년 제 22권 제 2호 p.177-198

    본 논문은 東醫寶鑑 夢門의 불면처방들을 黃帝內經 이후로 여러 醫書에 기재된 동명의 처방 主治와 구성 및 약물용량을 시대별로 비교, 분석하여 변화과정을 고찰한 논문이다. 고찰결과 千金要方의 膽虛實第二에 虛煩不得眠이라고 하여 不眠門에 대한 분류가 처음 나타났으며 東醫寶鑑 불면 처방 중 가장 많이 문헌에 인용된 처방은 溫膽湯으로서 千金要方 에서부터 血證論 까지 총 19권의 문헌에 수록되었다.

  • 불면환자의 수면의 질 척도와 한방진단시스템 병기와의 연관성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년 제 21권 제 1호 p.89-108

    본 논문은 불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피츠버그 수면질지수(PSQI)와 한방진단시스템 설문지(DSOM)등을 답변하게 한 후 수집한 92건의 자료를 대상으로 집단별 평균비교, 빈도분석, 한방진단시스템과의 상관성 등을 조사⋅연구한 논문이다. 그 결과 불면환자에서 血虛의 병기가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며, 血虛⋅心병기점수는 악몽의 횟수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자원의 사하작용을 이용하여 호전된 불면 환자 치험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1년 제 22권 제 4호 p.125-134

    본 논문은 2년 동안 불면증으로 고통받고 있는 60세 남성 환자를 자원으로 치료하여 호전을 본 논문이다. 환자는 약 1년 반동안 수면제를 복용해왔으며, 소양병 리증 질환으로 생각하여 시호가용골모려탕과 자원을 첨가하여 투여하였다. 환자가 시호가용골모려탕을 복용한 후에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점수가 18에서 16으로 감소하였으며, 23일 후에 자원과 시호가용골모려탕을 동시에 복용 후, 자원의 사하작용이 나타나 PSQI의 점수가 16에서 4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반되는 증상도 호전되었다.

  • 한방치료와 점진적 근육이완법으로 호전된 불면 환자 치험 2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년 제 20권 제 4호 p.173-183

    본 논문은 의학적 진단 상 기질적 원인을 발견할 수 없으며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으나 일정한 효과를 보지 못하는 환자에게 한방 치료와 점진적 근육이완법을 사용하여 불면 증상의 개선에 효과를 본 논문이다. 증례 1의 환자는 수면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수면시간이 5시간까지 증가하였으며 증례 2는 치료 후 번개 치는 듯한 느낌 감소하여 잠드는데 걸리는 시간이 감소하였다.

  • 불면의 두침치료에 대한 임상논문 고찰 :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중국 논문을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2년 제 23권 제 1호 p.17-29

    본 논문은 불면증 두침치료에 대한 중국 임상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불면증에 대한 두침치료의 효과와 치료방법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그 결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와 대조군 임상연구에서 두침치료군은 한약물치료군, 단순자침료군에 비해 높은 유효율을 보였으며, 양약치료조에 비해서는 높거나 비슷한 유효율을 보였고, 증례군 연구에서는 두침과 체침을 함께 사용하여 83.64% ~ 100%의 유효율을 보였다

  • 섬수약침이 수면장애 환자의 불면 및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의학회지 2015년 제 32권 제 3호 p.175-183

    본 논문은 섬수약침과 생리식염수(normal saline)의 효과를 비교 연구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은 논문이다. 그 결과 불면 점수에서 실험군은 모든 치료 기간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 불면 점수의 호전도가 모든 치료기간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Beck depression index에서 실험군은 초진일로부터 2주 후의 기간(P02)를 제외한 구간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 화병환자의 불면증상에 대한 침치료 유효성 평가연구 : 환자-평가자 눈가림, 무작위배정, 일반대조군 임상시험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2년 제 23권 제 1호 p.31-48

    본 논문은 불면증상을 가진 화병환자를 대상으로 침치료 전후의 수면 질 평가와 화병 핵심증상척도를 비교하였으며, 우울, 불안, 분노척도의 변화를 비교분석한 논문이다. 그 결과 화병불면 침치료는 수면평가도구인 ISI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불면증상 완화를 나타내었으며, 화병불면 침치료는 화병 핵심증상에 대한 리커트척도 평가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감소시켰다.

  • 불면(不眠)에 대한 침구치료(鍼灸治療)의 접근 방법론 연구 – 경락생리(經絡生理) 및 혈성(穴性)을 중심으로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4년 제 21권 제 3호 p.147-158

    본 논문은 불면의 병인병리를 7가지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침구치료를 각 문헌별로 정리한 논문이다. 분석 결과 외감 또는 내상으로 인하여 심,간,담,비,위,신 등의 장부기능에 실조를 초래하여 심신불안의 상태가 되어 불면증이 됨을 알 수 있었다.

  • 불면에 대한 전침치료 동향 -1994년-2009년 중국 임상 논문 중심으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년 제 20권 제 4호 p.91-102

    본 논문은 불면증 전침치료에 대한 중국 임상연구를 통하여 불면증에 대한 전침치료의 효과와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본 논문이다. 분석 결과 불면의 치료에 단순전침치료나 단순자침, 양약치료,한약치료,이침치료 등도 유효하였으나 전침과 기타 치료의 결합치료가 치료효과면에서 더 우수했음을 알 수 있었다.

  • 대승기탕(大承氣湯) 투여 후 변폐(便閉), 번조(煩燥), 불면(不眠)호전된 중풍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년 제 25권 제 2호 p.307-313

    본 논문은 Brain MRI 검사상 뇌경색 진단을 받고 내원한 환자 1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승기탕을 투여한 후 대변의 소통과 총 대변량의 증가와 더불어 번조, 불면의 증상이 점차 호전되다가 소실되는 임상경과를 관찰한 내용이다.

  • 기혈부족(氣血不足), 심허(心虛)로 진단된 불면환자(不眠患者) 1례(例)에 대한 증례보고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년 제 17권 제 3호 p.175-181

    본 논문은 불면환자(不眠患者)에게 인삼양영탕과 공진단을 처방하여 수면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불면증상에 효과가 컸음을 확인한 논문이다. 치료전 총 수면시간 1~2시간으로 입면곤란 증상을 보였으나, 29일 이상 치료 후 6시간 수면을 유지하였으며 입면곤란이 호전되었다.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과 공진단(拱辰丹)은 기혈부족(氣血不足), 심허(心虛)로 진단된 불면환자(不眠患者)에게 투여가능하다.

  • 불면과 심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9년 제 22권 제 1호 p.153-178

    본 논문은 韓醫學에서 不眠과 心의 相關性에 대하여 東醫寶鑑을 위주로 硏究한 논문이다. 결론적으로 睡眠時에는 神明을 담당하는 心臟도 休息을 취하며, 心臟이 休息을 취하는 시기인 睡眠時間의 減少는 心臟에 過를 야기하는 것이고, 그 결과는 心臟病의 發病을 유발할 수 있다.

  • 불면과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화병 환자에게 한의학적 치료와 마음챙김명상을 병행하여 호전된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년 제 19권 제 3호 p.231-244

    본 논문은 계속된 가정불화로 불면과 심한 우울증을 보이는 33세의 여성 환자를 치료한 논문이다. 환자는 신체가 눌리는 기분, 몸에 찬물을 끼얹는 듯한 느낌, 식욕감퇴 및 추위와 더위를 번갈아가며 느끼는 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침법을 병행한 마음챙김명상, 한약과 아로마요법을 실시하였다. 특히 마음챙김명상 및 가감귀비탕이 증상 완화와 숙면에 효과적이었다.

  • 불면의 병인, 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不眠의 病因, 治療에 관한 文獻的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4년 제 13권 제 1호 p.331-343

    본 논문에 따르면 不眠의 原因은 胃不和, 虛勞, 榮血不足, 心膽虛怯, 六經病, 思慮過多 臟腑虛損 등으로 나타났다. 不眠의 治法은 滋陰降火, 補益心脾, 溫膽, 益氣和中, 祛痰除濕 등을 爲主로 했음을 알 수 있다. 不眠의 治方은 溫膽湯, 酸棗仁湯, 梔子鼓湯, 六君子湯 등이 多用되었고 그 중 溫膽湯이 가장 많이 쓰였다.

  • 황제내경』에 나타난 불면의 원인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5년 제 18권 제 1호 p.57-66

    본 논문은 황제내경에 나오는 불면과 관련된 원문과 역대 의가들의 주석을 참고하여 불면의 기전과 원인에 대하여 연구 고찰한 논문이다. 고찰 결과 불면의 원인을 양기의 항진, 양명경의 실조, 위중불화, 오장의 손상, 광증이나 심리적장애, 비생리적 수사의 체류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 불면에 대한 동, 서의학적 고찰
    대한한의진단학회지 1997년 제 1권 제 1호 p.114-134

    본 논문에 따르면 不眠의 原因으로는 胃不和, 濕痰, 心氣不足, 陰虛, 思慮過多 및 膽虛 等이 있다. 不眼의 治法으로는 消滯和中, 理痰氣, 養心益氣, 滋陰降火, 補益心脾, 溫膽 等을 爲主로 함을 알수 있다. 西醫學的 治療方法으로 첫째, 原因論的 治療, 둘째, 睡眠環境療法, 셋째 行動 및 認知療法 넷째, 藥物治療이며, 이중 原因論的 治療가 가장 重要하다 하였다.

  • 불면환자에 대한 자하거 약침 효능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의학회지 2004년 제 21권 제 3호 p.99-105

    본 논문에 따르면 不眠患者 34명을 대상으로 紫河率 藥針을 風池와 完骨에 施術하였다 그 결과 總 睡眠時間의 평균은 시술 전 4.07± 0.93hrs에서 시술 후 4.75± 1.00hrs로 증가하였으며, p<0.01(p=0.005)의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였다. 睡眠의 質的 變化는 설문을 통한 환자의 주관적인 만족도로 나눈 결과 매우 좋음(顯著한 好轉) 4명(11.8%). 좋음 17명(50%), 변화 없슴 9명(26.4%), 惡化 4명(11.8%)의 結果를 보였다. 34명의 환자 중66.8%의 비율에서 치료 만족도를 보였다.

불면증 한방치료는 수원 바를정한의원에서

오민지 원장       OH MINJI, K.M.D

약력
한방 안•이비인후•피부과 전문의
2017 네이버 지식인 한방 안•이비인후•피부과 상담한의사 선정
대한안면학회 학술이사
한의학 석사
세명대학교 한방 안•이비인후•피부과 전문수련의 과정 수료
세명대학교 한방바이오산업 임상지원센터 연구원
전 소람한방병원 진료원장
대한한의학회 정회원
대한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정회원
대한약침학회 정회원
한국중경의학회 정회원

논문, 서적
‘말초성 안면마비 후유증 환자 치험 3례’ 대한한방내과학회 2015 추계학술대회 논문발표
‘구안와사 후유증 한방해결’ 저자
‘구안와사 9인9색’ 공동저자

托裏消毒飮 함유 외용제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4권 제3호 통권46호
달팽이 점액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장벽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3권 제3호 통권43호
벌유충 분말 서플리먼트의 이명에 대한 임상적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제25권 제2호 통권48호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 대한 위약 대조 시험법에 의한 ‘Atomento solution & cream’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단일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비교 임상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년 제22권 제3호

언론과 방송에서 주목을 하는 수원 바를정한의원